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퇴직금4

퇴직금 계산법 손해보지 마세요 [퇴직금 계산법]퇴직을 앞두고 '내 퇴직금은 제대로 계산되고 있을까?'라는 고민을 해본 적 있으신가요? 퇴직금은 다음 공식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퇴직금 = 평균임금 × 30일 × (재직일수 ÷ 365일) 여기서 중요한 점은 평균임금의 개념입니다. 평균임금 = 퇴직 직전 3개월간 받은 임금 총액 ÷ 3개월간 총 일수평균임금에는 기본급뿐만 아니라 매월 고정적으로 지급되는 수당도 같이 포함됩니다. 총 근무기간이 3년(1,095일)인 퇴직자의 마지막 3개월의 급여금액이 동일하다면, 다음의 계산으로 간단히 퇴직금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기본급연장근로수당직책수당식대합계3,000,000500,000200,000200,0003,900,000 평균임금 = 3,900,000 × 3개월 ÷ 90일 = 130,000.. 2025. 8. 19.
퇴직금추계액명세서 계산과 퇴직급여충당부채의 회계처리 방법을 알려줄게 퇴직금추계액명세서 작성 및 회계처리 매년 초 작성하는 퇴직금추계액명세서와 중간퇴직자 발생 시의 회계처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퇴직금 추계액명세서는 해당 연도에 지급할 것으로 예상되는 퇴직급여를 미리 산정해서 기업의 재무제표에 '퇴직급여충당부채'로 정확히 반영하고 미래의 퇴직금 지급 의무를 미리 인식하여 투명한 재무 관리를 하기 위함입니다. 퇴직급여충당부채 퇴직급여충당부채는 직원들에게 퇴직 시 지급해야 할 퇴직금을 현재 시점에서 회계적으로 인식하는 것입니다. 미래의 지급 의무를 현재의 부채로 반영하여 재무 상태를 평가하기 위함입니다. 퇴직급여충당부채를 반영하면 기업의 부채를 정확히 인식하여 투자자, 금융기관, 주주 등 이해관계자들에게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신뢰성 있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퇴직급여.. 2025. 1. 23.
통상임금?? 평균임금?? 뭐가 다를까? Q : 중도퇴사자의 퇴직금과 연차수당을 계산하려고 합니다. 통상임금과 평균임금 같은 것 아닌가요?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하고, 퇴직금 연차수당 모두 둘 중 한 가지로 계산하면 되는 것 아닌가요? 통상임금이란? 통상임금이란 근로의 대가로 정기적 또는 일률적으로 지급하기로 정한 금품을 말합니다. 근로자에게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기본급과 각종 수당을 뜻합니다. 예) 기본급(과세)+식대(비과세)+차량유지비(비과세)+직무수당(과세)+직책수당(과세) = 통상임금 평균임금이란? 평균임금이란 일정 기간에 지급된 임금의 평균금액을 말합니다. 평균임금을 계산해야 하는 사유가 발생한 날 직전의 3개월 동안 지급된 총임금을 일수로 나누어 계산합니다.예) 24년 9월 1일(퇴사일) 기준 : (8월 급여(31일)+7월 급여.. 2024. 8. 30.
복잡한 퇴직연금 제도! 그래서 내 퇴직금을 대체 어떻게 한다는 것인가? 퇴직연금 핵심정리Q : 내 퇴직금인데 회사에서 퇴직연금을 가입하고 퇴사할 때도 퇴직연금으로 지급한다고 하네요. 그런데 퇴직연금 괜찮은가요? 얘기만 들어도 무슨 말인지 너무 복잡하고 모르겠어요. 알아듣기 쉽게 설명 좀 해주세요. 퇴직금이란? 1년이상 근무한 근로자에게 퇴사일 기준으로 1일 평균임금을 계산하여 30일분의 급여를 지급하는 것입니다. 회사는 근로자의 퇴사일로부터 14일 이내에 퇴직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퇴직금은 [근로자 퇴직급여 보장법]에 의거하여 위반할 경우 형사처분을 받게 됩니다. '퇴직금제도'를 알아봅시다! 회사는 퇴직금을 근로자에게 지급하기 위해 '퇴직금제도'를 설정해야 합니다.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제8조제1항]퇴직금제도는 퇴직연금(DB, DC)과 퇴직금 일시지급의 .. 2024. 8. 19.
반응형